본문 바로가기
산림청200대명산(完)

[200대명산]177.충남 공주 무성산(614m) 실존 홍길동의 전설을 따라 걷는 길(2018.4.13)

by 日新우일신 2018. 4. 15.
728x90

 

 

1. 산 이 름 : 무성산 (茂盛山, 200대명산 177번째)
2. 위 치 : 충청남도 공주시

3. 높 이 : 614미터
4. 산행일시 : 2018. 4. 13(금) 08:15-09:50 (1시간35분, 순수산행시간 1시간30분)
5. 산행거리 : 4.5Km
6. 산행코스 : 한천약수터 갈림길 → 능선길 → 홍길동성 → 무성산 정상 → 홍길동굴 → 한천약수터 → 갈림길(원점회귀)

7. 동행자 : 나홀로

 

 

 

- 모처럼 아침 일찍 차를 끌고 길을 나선다. 안면도에서 있을 오후 행사에 앞서 부근의 산행지를 찾으려는 것이다.

오늘 목표는 공주 무성산과 논산 노성산이다. 워낙 산행계획을 여러번 세웠던 곳이라 모두 익숙한 길이다. 그러나 역시 다른 사람의 산행기와 지도를 보고 짐작하던 것과 직접 둘러 보는 느낌은 매우 다른 것이다. 오랜만에 미답지를 홀로 걷는 즐거움을 만끽하며 봄날 하루를 보내었다.

 

- 무성산(614m)은 충남 공주시 사곡면 정안면, 우성면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공주시에서 북서쪽으로 마치 한 마리 누에가 기어가는 듯이 보이는 산이다. 속리산에서 북서쪽으로 갈라진 한남금북정맥은 경기도 안성 동쪽 칠현산에서 두 가닥으로 갈라진다.
무성산은 서쪽 명가천을 사이에 두고 마곡사를 내려다보고 있다. 그러나 마곡사 명성이 대단했던 까닭에 아직까지 무성산에 훌륭한 등산코스가 숨어 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홍길동이 쌓았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성터 석탑지대에서 휘둘러보는 파노라마는 막힘이 없다. 북쪽으로는 국사봉에서 차령을 지나 광덕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금북정맥이 하늘금을 이룬다. 동쪽으로는 정안천이 흐르는 화봉리 분지 너머로 북쪽 멀리 금북정맥 국사봉으로부터 가지쳐 나온 높고 낮은 산릉들이 일렁이는 파도인 듯 시야에 와닿는다.
남동쪽으로는 공주시 뒤로 계룡산이 가물거리고 백마강이 흘러가는 방향인 남소쪽 멀리로는 청양 칠갑산이 넘실대는 산릉 위로 고개를 내밀고 있다. 서쪽 조망도 일품이다. 예부터 전해지는 십승지의 한 곳인 유구를 감싸고 칠갑산으로 달아나는 금북정맥이 하늘금을 이루고, 금북정맥 아래로는 운암리 마곡사를 감싸고 있는 태화산(614m)이 아늑한 분위기로 시야에 들어온다.(산림청 자료 참조)

 

- 홍길동전이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하였다는 정도는 얼핏 알고 있었지만 그 실존 홍길동이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다는 것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소설을 지었다는 허균이 실제 저자인지 의문이 있는 것도 새삼 알게 된 사실.

 

-  공주 향토사학자들 중심의 주장을 실펴보면, 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실존 홍길동(洪吉同)은 1495년이 되자 충청도 조령, 문경새재를 주요 활동지로 삼고 홍주와 공주를 생활근거지로 삼아 활발하게 충청도 전역으로 세력을 넓혀나갔다.

특히 공주에서는 무성산 정상(614m)에 요새를 쌓고 관군에 대항하며 집단생활을 영위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염귀손 등 조정의 고위직 관리는 물론 지방의 수령, 아전, 유향소의 품관들까지 이들의 활동에 동조하였다.

이후 1500년(연산군 6년) 10월 22일 체포되어 강상죄(고위관직을 사칭하여 관리를 능욕한 죄)로 의금부에 감금되었다고 하는데 처벌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무성산이 홍길동의 실제 본거지였는지는 모르겠지만 홍길동이 충청도를 기반으로 한 도적이었다는 사실은 왕조실록에 명확히 남아 있으므로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라 할 것이다.

 

- 홍길동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이외에도 여러 야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택당 이식(李植, 1584~1647)의 "택당선생별집(澤堂先生別集)"은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근거가 되고 있으며 택당 이후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의 "성호사설", 심재(沈鋅, 1722~1784)의 "송천필담(松泉筆譚)", 홍만종(洪萬宗, 1643~1725)의 "해동이적" 등이 대표적이다.

게다가 소설 홍길동전은 후세 사람들이 각색, 첨삭한 110여 편의 이본이 현재까지 등장한다고 하니 정확한 저자나 실존 주인공의 행적에 대하여는 여러 주장이 분분하게 된 것이다.

 

- 어쨌든 분명한 것은 1,500년의 실존 홍길동이 소설 '홍길동전'의 모델인 점, 그 실존 홍길동이 주로 충청도에서 활동하였던 점은 조선왕조실록에 의하여 증명된 "정사"라 할 것이다. 무성산은 바로 그 실존했던 연산군 시대 홍길동의 전설이 구전으로 이어져 온 역사적 무대인 것이다. 

비록 지금은 홍길동의 출생지가 장성 아차곡이라 적은 "증보해동이적" 기록에 따라 전남 장성이 발빠르게 조성한 ‘홍길동테마파크’에 밀리고 있지만 공주시의 "실존 홍길동" 스토리텔링 사업은 충분히 성공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전남 장성의 홍길동은 1,426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는 절제사 홍상직(洪尙直)의 서자를 말하는 것인 바, 1,500년 연산조에 등장하는 실존 홍길동과는 전혀 별개의 인물로 보이기 때문이다.(두 홍길동이 동일인이라면 왕조실록에 등장하는 1,500년 홍길동은 최소한 75세 이상인 셈이다.)

 

 

▼ 오래 전부터 지도상에서 찍어 놓은 지점에 차를 세웠다. ▼

 

 

 

 

 

 

▼ 한천약수터 가는 길.

전봇대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 올라 간다. ▼

 

 

 

 

 

 

 

 

▼ 완전히 새로운 등산로를 조성해 놓았다.

가파르지만 길이 뚜렷하니 마음이 편안하다. ▼

 

 

 

 

 

 

 

 

 

 

 

 

▼ 능선으로 올라섰다. ▼

 

 

 

 

 

 

▼ 군데군데 소나무숲이 근사하고. ▼

 

 

 

 

 

 

▼ 문득 앞쪽에서 커다란 물체 하나가 후다닥 달려 나가는 바람에 깜짝 놀란다.

노루인지 고라니인지, 최근 몇 년간 산에서 만난 짐승 가운데 가장 큰 놈이다. ▼

 

 

 

 

 

 

 

 

 

 

▼ 누군가 리본에 무성산 상봉이라 적어 놨길래 올라가 본다. ▼

 

 

 

 

▼ 아무런 볼 것이 없으니 괜히 올라 왔는가 싶다. ▼

 

 

 

 

 

 

 

 

 

▼ 갑자기 산성의 흔적이 나타났으니 홍길동성으로 불리우는 무성산성이다.

무성산성에 대하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는,

"무성산성은 협축식으로 축조되었다. 산성의 대부분은 완전히 붕괴된 상태지만 능선 정상부를 지나는 서벽의 경우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다. 이곳에는 면석도 남아 있어 축성법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곳곳에 남아 있는 치성도 대부분 붕괴되어 치성인지조차 불분명한 경우도 있다. 성문은 완전히 파괴되어 흔적만 남아 있으며, 건물 터 또한 평탄하게 터만 남아 있다. 관련 유물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공주 지역에 분포하는 산성과는 달리 해발 614m에 자리 잡고 있어 입지부터 차이가 난다. 축성법도 협축식으로 편축식을 한 다른 산성과 비교된다. 치성 또한 방형으로 뚜렷하게 다섯 개나 남기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축성 시기가 밝혀져야 분명히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 홍길동이 축성하였다는 전설도 무성산성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좋은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 무성산 정상.  엉뚱한 무덤들이 정상을 차지하고 있어 잠시 어리둥절해진다.

심지어 무덤 하나는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여 황당한 느낌이다. ▼

 

 

 

 

 

 

 

 

 

 

 

 

▼ 사곡면 회학리 방향 조망. ▼

 

 

 

 

 

 

 

 

▼ 등산로 안내도는 하얗게 바래서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디. ▼

 

 

 

 

 

 

▼ 산성 벽면을 통과한다.

이를테면 성 밖으로 다시 나가는 것이다. ▼

 

 

 

 

 

 

▼ 되돌아 본 무성산성.

축성 시기는 백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

 

 

 

 

 

 

 

 

▼ 능선에서 좌측 홍길동굴 방향으로 내려선다. ▼

 

 

 

 

 

 

 

 

▼ 저기 어딘가에 홍길동굴이 있었다는데..

지금은 막혀 있다는 무책임한(?) 설명이 달려 있다. ▼

 

 

 

 

▼ 저 바위의 오른쪽 밑이 작은 절벽을 이룬 홍길동굴의 위치이다. ▼

 

 

 

 

 

 

 

 

 

 

 

 

▼ 조금 가파르지만 뚜렷한 등로를 따라 내려오면 금새 임도가 나타난다. ▼

 

 

 

 

 

 

▼ 한천약수터 방향으로 느긋하게 걸어간다. ▼

 

 

 

 

 

 

 

 

▼ 임도 좌우로는 봄꽃이 만발하여 혼자 걷는 이른 아침의 호젓한 흥취를 북돋운다. ▼

 

 

 

 

 

 

 

 

▼ 한천약수터.

그 흔한 수질검사 안내도 없고.. 물맛을 보려 바가지에 물을 받았더니 이물질이 계속 섞여 나온다.

음용수로서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

 

 

 

▼ 차량이 주차된 지점으로 되돌아 왔다.

여러모로 산행지로써 개발할만한 가치는 충분해 보이는데 아직 준비는 덜 된 것으로 보인다. ▼

 

 

 

▼ 돌아가는 길에 평정저수지에 잠시 차를 멈추고 뒤돌아 본다.

예상보다 빨리 산행을 마치고 논산 노성산을 향해 길을 서두른다. ▼

 

 

반응형

댓글